감정(Emotion)을 향기 나는 에센셜오일의 과학으로 다스리는 방법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감정 치유용 에센셜오일에 대해 약리학적인 성분 기반의 접근법은 매우 합리적이며, 오히려 과학적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감정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 중 하나로 만들 수 있다.


이 방향은 단순한 감성 마케팅이나 영성 기반 설명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설명과 정서적 효과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감정(Emotional wellbeing)과 약리성분(Pharmacological components)을 연결하는 기본 골격의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본다면 쉽게 이해가 될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감정에 대한 접근의 기본 방향 정립: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감정은 생화학이다: 감정은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자율신경계 반응 등 생리학적 반응으로 구성된다는 전제 위에서 접근해야 한다.


• 감정과 뇌의 연결: 편도체, 해마, 전전두엽 등과 감정의 상관관계 / 따라서 이 부위에 영향을 주는 약리 성분은 무엇인가를 규명한다.


• 정서적 불균형은 즉, 신체 시스템의 불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즉, 감정이라는 것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신체 시스템에 ‘화학적 신호’로 간주한다는 의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감정과 관련된 신체 시스템 구분


    감정 상태     관련된 생리 시스템       대표 작용 기전
불안, 공포자율신경계(교감신경 항진)진정(sedative), 이완(spasmolytic)
우울, 무기력 중추신경계, 세로토닌 회로 항우울(antidepressant), 각성(stimulant)
분노, 짜증간계 시스템(전통의학+해독 관점)해독(detoxifying), 진경(calming)
상실감, 슬픔 심장/폐 시스템(기순환 관점) 심폐강화(cardiotonic), 폐열해소
자기혐오, 불안정감 내분비계, 특히 부신 부신강화(adrenal tonic), 호르몬조절


이처럼 ‘감정 → 관련 생리 시스템 → 약리적 작용 → 에센셜오일 성분’의 구조로 연결되는 순서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간계 시스템이란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간(肝)은 해독의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소화기계, 신경정신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독(解毒)기능은 체내에 들어오는 모든 물질을 간(Liver)에서 대사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주요 약리 성분과 감정 효능 연결하기


   약리 성분     대표 작용    감정적 효과    대표 오일
리날룰 (Linalool)진정, 항불안불안 완화 라벤더, 마조람
에스테르(ester)계통 진경제, 항우울긴장 완화, 감정 조율클라리세이지, 베르가못
시트랄 (Citral) 각성, 항우울 무기력 해소, 활력 증진 레몬머틀, 레몬
베타카리오필렌
(β-caryophyllen) 
항염, 진통, 항우울 분노 진정, 신뢰 회복블랙페퍼, 프랑킨센스
게라니올(Geraniol) 신경 안정, 항균우울 완화, 사랑감 회복팔마로사, 로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감정 치유용 오일의 접근 방식 분류


① 증상 기반 접근법 (Symptom-based Approach)
: 불안, 우울, 무기력, 분노 등 감정 증상 별로 오일을 분류


② 시스템 기반 접근법 (System-based Approach)
: 자율신경계, 부신, 심폐, 간 등 신체 시스템에 따라 접근


③ 성분 기반 접근법 (Constituent-based Approach)
: 리날룰(linalool), 에스테르(Ester), 모노테르펜(Monoterp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등 성분의 작용 위주로 설명


④ 심리/에너지 기반 접근법 (Emotional Card, Mind-energy Approach)
: 카드(인사이트), 차크라, 점성술, 등과 연결하여 설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인사이트 카드 기반, 감정 아로마테라피와의 보완적인 어프로치


• 인사이트 카드는 감정과 오일의 직관적 연결을 돕는 도구로서 매우 유용하며, 감정 상태를 자각하고 향기를 통해 내면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 다만 대부분의 인사이트카드는 ‘이 감정에는 이 오일’이라는 상징적 대응에 머무르며, 왜 이 오일이 그 감정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약리학적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 반면 ‘약리학적 기반의 감정오일(PEPE/Pharmacological Emotional Prescriptions with Essential Oils)'적인 접근은 감정 상태를 생리적 신경약리학적으로 분석하고, 오일의 구성 성분과 작용 기전을 기반으로 감정 조절 효과를 설명한다.


즉, 인사이트카드는 ‘감정과 향기의 만남’을 감각적으로 보여주고, PEPE는 그 만남을 ‘생화학적으로 해석’하는 모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예를 들어, 인사이트카드에서 '불안'에 추천되는 라벤더는 단순히 '안정을 상징하는 향기'가 아니라, PEPE의 관점에서는 모토테르펜 알코올 성분그룹의 성분인 리날룰(Linalool)이 GABA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중추신경계를 진정시키는 과학적 작용기전을 통해 설명된다. (GABA 수용체;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 따라서 인사이트카드를 활용하더라도, 그 안에 담긴 오일을 PEPE 방식으로 분석하여 근거 기반의 감정 처방을 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보완되어 연결될 수 있다.



5. 점성술, 차크라 등과의 통합 방법


• 점성술/차크라/감정의 연결고리를 시각적으로 정리하여 이용하면, ‘상징과 성분의 조화’라는 개념으로 다가갈 수 있다.
(예시)
    - 제3차크라(자기 의지) – 레몬(시트랄) – 에너지 상승
    - 물의 별자리(감정의 흐름) – 로즈/팔마로사(게라니올) – 감정 해방


• 단, 에너지 시스템은 '보조설명'으로 위치시켜야 이해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인간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 매우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에센셜오일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는 ‘약리학적 기반의 감정오일(PEPE/Pharmacological Emotional Prescriptions with Essential Oils)'이라는 약리적인 설명과 결합된다면 더욱 과학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치유모델로서의 실질적인 임상 메디컬 아로마테라피로서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에센셜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준 (발행인)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