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로마테라피 블렌딩 기본 설계 방법

에센셜 오일의 약리적인 작용을 기반으로한 아로마테라피 블렌딩을 만드는 방법


아로마테라피에서 에센셜 오일을 블렌딩(Blending)할 때 많은 전문가들이 시행하는 방식은 먼저 '에센셜 오일의 작용’ 또는 '에센셜 오일을 통한 감정상태’를 기반으로 블렌딩을 한다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에센셜 오일의 “약리학적 성분(Pharmacological ingredients)”을 기준으로 블렌딩을 체계화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하며, 최근의 메디컬 아로마테라피에서는 임상 아로마테라피(Clinical Aromatherapy) 적인 접근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약리적 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블렌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약리적 블렌딩의 핵심 주제 5 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블렌딩의 목적: 약리작용 기반 블렌딩이란 무엇인가?


전통적인 블렌딩은 주로 ‘향기를 기준으로 한 조화(Top-Mid-Base note)’나, ‘기분이나 감정 상태(이완, 활력, 집중)’를 기반으로 해왔다. 하지만 ‘약리학적 블렌딩(Pharmacological blending)’의 접근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준으로 만들어 진다고 보면 된다.


• 이 블렌드는 ‘어떤 병리학적인 문제(예: 염증, 감염, 통증, 스트레스 등)를 타겟으로 하는가?
• 그렇다면, 어떤 약리학적 작용이 필요한가?
(예: 항염, 진정, 항균, 항 바이러스, 항 경련 등)
• 어떤 화학적 성분 그룹 또는 성분 군이 그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가?
• 어떤 에센셜 오일들이 해당 성분을 주된 함량으로 함유하고 있는가?


이처럼 '질병 -->질병의 증상 --> 요구되는 약리작용 --> 필요한 화학성분 --> 함유하고 있는 에센셜 오일'의 역추적 접근이 약리학적 블렌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약리학적 성분 별 블렌딩 기준


각 약리효과에 맞는 주요 화학 그룹(Functional Groups) 및 블렌딩 가이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약리작용     주요 화학 그룹          대표 성분블렌딩 시 고려  사항
항염 (Anti-inflammatory)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에스테르(Esters) 베타 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초산 리나릴(linalyl acetate) 진정작용 성분과 병행 가능
항균 / 항 바이러스페놀(Phenols), 알코올(Alcohols), 산화물(Oxides) 티몰(thymol), 카바크롤(carvacrol), 유칼립톨(eucalyptol) 강한 자극 성분은 희석 필요
진정 / 신경 안정에스테르(Esters), 알코올(Alcohols) 리나룰(linalool), 초산 리나릴(linalyl acetate), 보르네올(borneol)고 용량 사용 시 졸림 현상 유도 가능
통증 완화케톤(Ketones), 에스테르(Esters)캠퍼(camphor), 살리신살 메틸(methyl salicylate) 피부 침투력을 고려한 캐리어 오일 필요
호흡기 개선산화물(Oxides), 모노테르펜(Monoterpenes) 1.8 시네올(1,8-cineole), 알파피넨(alpha-pinene) 흡입 기반 블렌딩 권장 
소화 개선 모노테르펜(Monoterpenes), 알데하이드(Aldehydes) 알데하이드(Aldehydes) 리모넨(limonene), 시트랄(citral) 복부 도포에 적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약리학적 블렌딩의 3대 원칙 (근거 중심)


다음 내용은 약리 기반 블렌딩을 위해 따라야 할 중요한 3가지의 핵심 원칙이다.


(1) “주 작용” 중심의 핵심 성분 선정 (Lead Effect)


• 첫 번째로 원하는 약리작용에 가장 효과적인 화학 성분 군을 선택한다.
• 예: 항염 블렌드를 원할 경우 베타 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세스퀴테르펜), 초산 리나릴(linalyl acetate/에스테르)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2) “보조 작용”을 위한 서포터 성분 배치 (Supportive Effect)


• 주작용을 보강하거나, 심신 균형을 위한 작용 추가로 선정한다.
• 예: 항염 작용에 진정작용 성분(예: linalool)을 함께 넣어 신경계통에 균형감을 조절


(3) “상호작용(Synergy 또는 Modulation)” 고려


• 강한 성분의 자극을 완화하거나, 약한 작용의 상승 효과 유도
• 예: 티몰(thymol)의 강한 항균 효과에 보르네올(borneol)을 더해 자극성을 완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성분 기반 블렌딩 이론


① P. Franchomme & D. Pénoël – Functional Group Theory
• 프랑스 임상 아로마테라피의 핵심 이론
• 에센셜 오일을 **화학 작용기(Functional Group)**로 분류하고, 해당 작용기를 중심으로 약리효과를 예측
• 예: 에스테르 그룹 → 항염, 진정 / 페놀 그룹 → 항균, 자극성


② Rosemary Caddy – Color-coded Blending
• 각 화학 그룹을 색깔로 구분하여 블렌딩 조화 제안
• 같은 색의 에센셜 오일끼리는 상승작용, 다른 색은 조화에 따라 배합 비율 조절
• 예: 청색 그룹(진정/에스테르 계열) + 녹색 그룹(항염/세스퀴테르펜) = 스트레스성 염증 완화


③ Kurt Schnaubelt – Holistic Biochemical Approach
• 에센셜 오일의 전체적인 화학 조성(chemo type)을 고려하여, 한 두 가지 성분에만 의존하지 않는 블렌딩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
• 예: 유칼립투스 라디아타는 1.8시네올(1,8-cineole) 외에도 알파 테르피네올(α-terpineol)과 함께 한다면 보다 부드럽고 안전한 호흡기 블렌딩에 적합하다는 의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블렌딩 방법론(약리 기준에 따른 실제 적용법)


Step 1. 질병 → 약리작용 선택
예: 만성 관절염 → 항염 + 진통 + 항산화


Step 2. 주요 작용 및 이에 필요한 화학 성분 선택
• 항염: 베타 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캐모마일, 블랙페퍼)
• 진통: 살리신살 메틸(methyl salicylate) (윈터그린)
• 항산화: 리모넨(limonene) (레몬, 자몽)


Step 3.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에센셜 오일 선택
• 캐모마일 로만 (에스테르+세스퀴테르펜)
• 윈터그린 (살리실산 메틸)
• 자몽 (리모넨)


Step 4. 비율 설정
• 주작용(캐모마일): 50%
• 보조작용(윈터그린): 30%
• 시너지(자몽): 20%


Step 5. 적용 방식
• 국소 도포용으로 희석 (5% 희석 기준으로 캐리어 오일과 혼합)
• 입욕 또는 흡입 병행 시, 자몽과 캐모마일의 진정작용이 보완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요약: 약리작용 기반 블렌딩의 설계도


            항목                                      기준
블렌딩 출발점병리적 목적 (질병 or 증상)
주요 성분 선택 기준작용기 그룹(Functional Group) → 주요 화학 성분
블렌딩 설계 방식주작용 + 보조작용 + 조화 작용 고려
비율 설계 50:30:20 또는 60:30:10 등
적용 경로흡입, 도포, 입욕 등 증상과 대상에 따라 결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결론


에센셜 오일의 블렌딩은 단순히 향의 조화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약리학적 성분 분석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제로 메디컬 아로마테라피(임상 아로마테라피)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기치료에서 의학적 치료로 확장되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저작권자 ⓒ 에센셜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준 (발행인)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