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센셜오일의 약리성분; 같은 작용 그러나 다른 결과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s)의 다양한 효능과 그 차이는 바로 화학 성분의 미세한 구조적 차이와 조합, 그리고 함유된 비율과 상호작용에서 기인한다.


대표적인 화학 성분들인 α-피넨(alpha-pinene), 리모넨(limonene),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살리실산 메틸(salicylic methyl ester), 유칼립톨(eucalyptol)의 특성과 약리적 차이를 보면 같은 약리작용(Pharmacological Effects)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오일마다 효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약리효능, 즉 항염, 항균, 진통 및 진정이나 거담 작용의 효능에 있어서도 동일한 약리효과를 갖고 있지만 효능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들의 특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주요 화학 성분의 약리작용 별 분류


항염증(anti-inflammatory)


• α-피넨 (alpha-pinene)
•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 살리실산 메틸 (methyl salicylate)
• 카리오필렌 (β-caryophyllene)
• 보르네올 (borneol)


항균 및 항바이러스(antibacterial / antiviral)


• 유칼립톨 (eucalyptol / 1,8-cineole)
• 티몰 (thymol)
• 카바크롤 (carvacrol)
• 리모넨 (limonene)
• α-피넨 (alpha-pinene)


진통작용(analgesic)


• 살리실산 메틸 (methyl salicylate)
• 캄퍼 (camphor)
•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 멘톨 (menthol)


진정작용(sedative)


• 리날룰 (linalool)
•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 게라니올 (geraniol)
• 네롤 (nerol)


거담 및 호흡기 개선(expectorant, mucolytic)


• 유칼립톨 (1,8-cineole)
• α-피넨 (alpha-pinene)
• 리모넨 (limonen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같은 약리작용인데도 효능이 다른 이유는?


같은 약리작용을 하는 성분이라도 왜 오일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 때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1) 화학 구조의 차이


  • 예를 들어, α-피넨(alpha-pinene)과 리모넨(limonene)은 둘 다 모노테르펜(monoterpene) 계열이며 항염 및 항균 작용을 한다. 하지만 α-피넨은 비강 점막 수축을 유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에 특화되어 있는 반면, 리모넨은 면역 자극과 간해독작용, 항산화 작용에 더 강하게 작용한다. (사이토카인: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면역단백질 중의 하나로서, 세포 신호전달과정(Cell Signaling)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 면역조절이다)
  • 반면,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는 에스테르(ester) 계열로서, 효소 억제와 신경 안정작용에는 강력하지만, 같은 진정 효과를 갖는 리날룰(linalool)은 알코올 구조로 근육이완과 진통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이다.
  • 즉, “같은 작용이 같은 결과는 아니다”라는 의미이며, 구조(성분그룹)의 차이로 인해 작용 강도, 지속시간, 신체 반응 부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농도 및 비율(상대적 함량)


  • 예를 들어, 라벤더 정유에는 리날릴 아세테이트가 40~45%, 리날룰이 25~30% 함유되어 있다. 이 조합은 부드럽고 지속적인 진정 효과를 유도한다.
  • 반면, 클라리 세이지의 경우 리날릴 아세테이트의 성분 함유량은 비슷하지만, 스클라레올(sclareol)이라는 에스트로겐 유사 성분이 함께 있어 호르몬 조절 및 여성 건강에 더욱 특화된 작용하게 된다.
  • 같은 성분이라도 ‘다른 어떤 성분과 함께 있느냐’에 따라 작용하는 범위, 즉, 작용의 스펙트럼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의미의 에센셜 오일의 중요한 성분 특성중의 하나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상호작용(Synergy & Modulation)


  • 정유의 성분들은 서로 시너지(synergistic effect) 또는 길항작용(antagonism)을 일으킨다.(길향작용은 생물체 내부상태에서 신경 및 호르몬이 분비되어 신체 내 향상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말한다)
  • 예를 들어, 리모넨은 항염,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지만, γ-터피넨과 함께 있을 때 산화 스트레스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 유칼립톨은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α-피넨이나 보르네올과 조합되었을 때 거담 작용이 더 우수하게 나타난다.
  • 단일 성분보다는 복합화된 조합이 더 강력하거나 안전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에센셜 오일의 핵심적인 매력이라고 볼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흡수 경로와 체내 분포의 차이


  •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은 피부를 통해 빠르게 흡수되어 국소 진통 효과가 뛰어나며, 근육통 완화에 적합하다.
  • 반면, 유칼립톨(1,8-cineole)은 흡입을 통해 폐에 도달하고, 점막에 작용하여 기침 완화, 염증 억제 등에 작용하게 된다.
  • 같은 약리작용이라도 사용 부위, 적용 방법, 투여 경로에 따라 체내 작용 메커니즘이 달라진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성분별 분석 예시


        성분명        성분 그룹  주요 약리 작용            상세 차이
α-피넨 (alpha-pinene)모노테르펜(Monoterpene)항염, 거담, 항균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폐포 침투력 우수
리모넨 (limonene)모노테르펜(Monoterpene)  항염, 항산화, 면역자극간해독 및 피부 재생에 우수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에스테르(Ester) 진정, 진통, 항염부신 스트레스 조절, 신경 안정화 효과
살리실산 메틸 (methyl salicylate)에스테르(Ester) 진통, 항염 피부 침투 후 국소 진통 작용 강함
유칼립톨 (1,8-cineole) 산화물(Oxide)거담, 항염, 항바이러스호흡기 점막에 작용, 흡입 시 효과 탁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결론: '같은 작용, 다른 결과'의 과학


1. 같은 계열의 약리작용을 가진 성분들이라도,
2. 구조, 농도, 배합 조합, 체내 흡수 경로에 따라
3. 효능의 강도, 적용 대상, 안전성, 작용 시간이 다르게 나타난다.


아로마테라피에서 단일 성분 분석은 기본적인 사항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에센셜 오일의 화학 조성 비율(Chemotype Profile)의 전체적인 내용을 기준으로,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실험적 접근 방법(추가 확인)


에센셜 오일의 효능 차이를 실제로 체험하거나 분석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야 한다.


• GC-MS(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통한 화학 조성 확인
• 블렌딩 후 작용 변화 비교 실험 (예: 라벤더+유칼립투스 vs 라벤더+로즈우드)
• 흡수 실험 (예: 손목 도포 후 1시간 뒤 경과 측정 등)

<저작권자 ⓒ 에센셜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준 (발행인)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