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더우드 이름에 대한 혼란을 정리하기

시더우드(Cedarwood)/백향목/히노끼/편백나무의 모든 것— 명칭/종(種)/역사/성경/효능의 혼란을 풀기 위한 정리


Ⅰ. 서론 — 왜 ‘시더우드’ 이름은 왜 늘 혼란스러운가

아로마테라피스트들이 시더우드 오일을 설명할 때 가장 흔하게 겪는 어려움은 “시더(Cedar)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나무들”이 하나의 범주로 혼용된다는 점이다.


한국어로는 백향목, 시다나무, 편백나무, 히노끼, 삼나무 등 여러 이름이 마구 섞여서 사용되며, 영어권에서도 Cedar와 Cypress, Juniper의 경계가 모호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더해, 성경에서 언급되는 ‘레바논 시더(Lebanon Cedar / 레바논의 백향목)’와 아로마테라피에서 사용하는 아틀라스 시더우드(Atlas Cedarwood, Cedrus atlantica)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나무’라는 사실까지 더해지면 혼란은 더 커진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시더우드 명칭의 기원 → 식물학적 분류 → 성경과 고대 문헌의 의미 → 일본, 한국의 편백, 히노끼 → 에센셜오일의 종류와 효능까지 전체 흐름을 한 번에 정리하여 오랜 혼동을 해소해 보고자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Ⅱ. 시더우드(Cedarwood)의 기본 정의 — “시더”는 하나가 아니다

1. 식물 분류로 구분해야 혼란이 사라진다. “Cedar”라는 단어는 영어권에서도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된다.

① 진정한 시더(True Cedars)

• 속(genus): Cedrus
• 과(family): Pinaceae(소나무과)
• 대표 종:
o Cedrus libani — 레바논 시더(백향목)
o Cedrus atlantica — 아틀라스 시더
o Cedrus deodara — 히말라야 시더

② 가짜 시더(False Cedars) 또는 상업적 Cedar류

• 속(genus): Juniperus, Chamaecyparis, Thuja, Cryptomeria, Calocedrus
• 대부분 Cypress 또는 Juniper 계열이며, 진정한 Cedrus와는 전혀 다른 나무지만 향기 산업에서 Cedar로 불려 왔다.

즉, 에센셜오일의 ‘시더우드’ 대부분은 진정한 시더(Cedrus)가 아닌 Cupressaceae 계열인 경우가 흔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Ⅲ. 성경의 ‘백향목(Cedar)’과 현대 아로마테라피의 시더우드 — 결정적으로 다르다

1. 성경의 백향목 = 레바논 시더(Cedrus libani)


성경에서 말하는 “Cedar of Lebanon(레바논 백향목, 백향목)”은
• 학명: Cedrus libani
• 주요 자생지: 레바논, 시리아, 터키
• 역사적 용도: 성전•궁전 건축(솔로몬 성전), 향, 방부, 제사, 정결 의식

이 나무는 고대 근동의 최고의 건축재이자 영적 상징물이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현재 시장에서는 ‘Cedrus libani’ 에센셜오일은 거의 생산되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환경보호, 국제규제, 수급 문제 때문이며, 아로마테라피에서 사용하는 “Cedarwood”는 대부분 Cedrus atlantica 또는 Juniperus virginiana이다.
→ 즉, 성경의 백향목은 ‘Cedrus libani’이며, 아로마테라피의 시더우드는 Cedrus atlantica(아틀라스 시더우드) 또는 Juniperus virginiana(버지니아 시더우드)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Ⅳ. 지역별 “시더”라는 이름의 실제 종(Plant Species) 정리

아로마테라피 교육 현장에서 꼭 필요한 “종 구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북아프리카 — 아틀라스 시더 (Atlas Cedar)


• 학명: Cedrus atlantica
• 과: Pinaceae
• 생산지: 모로코, 알제리
• 특징: 진정한 시더(Real Cedar)
• 에센셜오일 활용: 항염, 항진균, 피지조절, 림프순환, 그라운딩
→ 아로마테라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더우드.


2. 히말라야 — 데오다르 시더 (Himalayan Cedar)


• 학명: Cedrus deodara
• 과: Pinaceae
• 전통 용도: 향, 방부, 의식
• 에센셜오일: 강한 항진균•방충 특성
• 주의: 국내•유럽에서 치료적 사용은 제한적

3. 북미 — 버지니아 시더우드 (Virginia Cedarwood)


• 학명: Juniperus virginiana
• 과: Cupressaceae
• 특징: 실제로는 Juniper 계열(향나무과), “가짜 Cedar”
• 전통적 용도: 방충, 목재, 연필심
• 에센셜오일: 세드롤(Cedrol) 풍부, 향 안정화•진정•피부 수렴
→ 아틀라스 시더우드의 대체 오일로 가장 많이 사용됨.

4. 일본 — 히노끼(Hinoki)


• 학명: Chamaecyparis obtusa
• 과: Cupressaceae
• 특징: 일본의 영적•신성한 나무, 신사 건축에 사용
• 향기: 상쾌하고 맑은 우디향
• 에센셜오일:
o 진정•항균•항바이러스•스트레스 완화
o 피톤치드 성분(α-파이넨 등) 풍부
→ Aromatherapy에서는 Cedarwood 대신 쓰는 경우는 거의 없음. “Cypress/Forest oil”에 가까움.

5. 한국 — 편백나무(Hinoki Cypress)


• 학명: Chamaecyparis obtusa var. koreana
• 일본 히노끼와 거의 유사하나 한국의 토종 변종
• 향은 유사하나 일본 히노끼보다 약간 부드럽고 달콤한 편
• 에센셜오일: 항균, 항염, 스트레스 완화, 탈취
한국에서는 ‘편백오일’을 시더우드처럼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으나, 완전히 다른 종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일본 — 스기(Sugi, Japanese Cedar)


• 학명: Cryptomeria japonica
• 실제로는 삼나무(Cryptomeria)이며 진정한 Cedar와 무관
• 향기: 부드러운 우디향
• 에센셜오일: 항균, 방충, 스트레스 완화
• 일본 산림욕(Shinrin-yoku)의 대표적 수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Ⅴ. 명칭 혼란의 원인 분석 — 왜 Cedar라는 단어를 혼용하게 되었는가


1. 서구 목재 산업의 상업적 명칭 문제


고대 레바논 시더의 명성이 워낙 높았기에, 향기•내구성•방충 효과가 유사한 나무들을 상업적으로 Cedar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 대상이 다음과 같은 species이다.


• Juniperus virginiana (버지니아 시더)
• Thuja plicata (서부 레드 시더)
• Chamaecyparis obtusa (히노끼)
• Cryptomeria japonica (스기)
• Calocedrus decurrens (인센스 시더)
모두 Cupressaceae 계열이며 Cedrus와 거리가 멀다.

2. 동아시아의 종교•건축 전통


일본•한국•중국에서는 편백•히노끼•삼나무가 신사•사찰•왕실 건축에 사용되며 “신성한 나무”라는 의미가 부여되었다.


이로 인해 서구 성경의 “Cedar”와 동아시아 “신목(神木)”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이름이 혼용되는 문화적 배경이 생겼다.

3. 번역 문제


중국어•일본어•한국어에서 모두


• 香柏(향백)
• 檜木(회목)
• 杉木(삼목)

등이 영어로 번역될 때 Cedar로 통칭되는 경향이 과거에 있었다. 결과적으로, 문화•역사•목재 산업•번역의 혼합된 결과로 ‘시더’라는 단어가 전 세계적으로 뒤섞여 사용되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Ⅵ. 에센셜오일 관점에서의 확실한 정리

아로마테라피에서는 다음 네 가지를 반드시 분리해야 한다.

1) “진짜 Cedarwood Essential Oil”


Cedrus 속에서 나온 에센셜오일
• Cedrus atlantica (아틀라스 시더)
• Cedrus deodara (히말라야 시더)


효능의 핵심
• 림프•정맥 순환
• 항염•항진균
• 피지 조절
• 점액 용해•호흡기 보조
• 정서적 그라운딩•안정

2) “가짜 Cedarwood Essential Oil” (그러나 아로마적 효능은 훌륭함)


대표: Juniperus virginiana (버지니아 시더우드)


• 실제로는 향나무(Juniper)
• 항균•방충•정서 안정
• 향수•블렌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지속가능성 문제로 인해 Cedrus atlantica 대신 권장되는 경우가 증가.

3) “히노끼(Hinoki) / 편백(Cypress) 계열 오일”


• 엄밀히 말하면 시더우드가 아니라 Cypress 계열
• 주요 성분: α-파이넨, δ-카렌 등 “피톤치드류”
• 효능: 스트레스 완화, 항균, 항바이러스, 심신 안정

4) “삼나무(Sugi)•인센스 시더 등 기타 우디 오일”


• 숲•산림욕 계열 블렌드에 탁월
• 하지만 시더우드의 케톤•세스퀴터펜 중심의 약리효능과는 다름

Ⅶ. 에센셜오일 효능 차이 비교표 (아로마테라피스트용)


   분류     학명(종)      주요 성분      대표 효능     성경적 연결성
진짜 Cedar Cedrus atlanticaβ-히마칼렌, α-히마칼렌, 아틀란톤항염, 항진균, 림프순환, 지성피부, 점액용해간접 (레바논 시더와 같은 속)
진짜 Cedar Cedrus deodara 히마칼렌류방충, 항진균, 강한 우디향없음
가짜 CedarJuniperus virginiana 세드롤, 세드렌류 진정, 피부 수렴, 방충, 향 안정화 없음
히노끼/편백Chamaecyparis obtusa α-파이넨, δ-카렌 스트레스 감소, 항균, 항바이러스없음
삼나무(스기) Cryptomeria japonica δ-카렌, 사비넨 항균, 항염, 산림욕없음
성경의 CedarCedrus libani 향기 성분 불분명건축•방부•의식 직접적(성경의 백향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Ⅷ. 성경의 백향목이 주는 상징성과 오늘날 시더우드 오일 사용의 의미

레바논 시더(Cedrus libani)는 다음의 의미를 상징했다.


• 웅장함
• 부패하지 않는 목재
• 신성함
• 위엄


아로마테라피에서 Cedrus atlantica는 아래 내용의 “그라운딩 오일”로 평가된다.


• 마음을 가라앉히고
• 중심을 잡아주며
• 불안과 과도한 정서적 동요를 완화하는

즉, 성경의 백향목이 상징하던 정신적 안정성•위엄•보호의 이미지가 현대 Cedarwood 오일의 정서적 효능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아틀라스 시더우드를 "현대인의 심리적 백향목"이라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Ⅸ. 결론 — 이름의 혼란을 바로잡아야 에센셜오일의 본질이 보인다

정리하면 다음의 문장을 기억하면 된다.


“시더(Cedar)”라고 해서 모두 같은 나무가 아니다. 성경의 백향목(Cedrus libani)과 아로마테라피의 시더우드(Cedrus atlantica)는 다르다.


일본의 히노끼와 한국의 편백은 Cedar가 아니라 Cypress이다.


북미에서 흔히 쓰는 Cedarwood oil은 사실 Juniperus(향나무)이다.


이 구분이 가능해야 아래의 모든 내용에서 전문가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


• 오일 선택
• 블렌딩 설계
• 역사•성경적 해석
• 지속가능성 판단
• 소비자 교육

올바른 아로마테라피, 특히 메디컬 아로마테라피를 수행하기 위해서도 “이름이 아니라 종(species)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수”라는 것을 이번 시더우드 칼럼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에센셜타임즈 Essential Times – 과학과 자연이 만나는 아로마테라피의 전문 정보 플랫폼


<저작권자 ⓒ 에센셜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준 (발행인) 다른기사보기